블로그 이미지
걷는 사람, 쓰는 사람, 하는 사람-*
Musicpin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아이의 자존감

2020. 8. 18. 07:40 | Posted by Musicpin


http://aladin.kr/p/g6oGt

 

아이의 자존감

2008년 방송과 2009년《아이의 사생활》의 출간이후 2년여의 시간 동안 자존감과 관련한 새로운 양육 사례들을 수집하고, 전문가들의 조언을 정리하고, 성공한 리더들을 분석하고, 자존감 결핍으�

www.aladin.co.kr

자존감-인간을 성공으로 이끄는 중요한 마음의 힘

자존감은 말 그대로 스스로를 존중하는 힘으로, 자신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이다. 이것은 보통 자기 가치감, 유능감, 자신에 대한 호감으로 나누어진다.

자기 가치감이란, 주변에서 힘든 상황이 벌어지고 내가 실수해서 큰 망신을 당한다고 해서, 내가 무가치하고 형편없는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자신에 대한 믿음을 말한다.

자신에 대한 호감은 내가 지금 당장 이 일을 해내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해서 이런 내가 혐오스럽거나 실망스러워 낙심하는 것이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 자신을 마음에 들어 하는 자신에 대한 깊은 신뢰감을 말한다.

자존감이 높은 아이들은 과제를 주었을 때, ‘나는 이것을 해낼 수 있는 능력이 있다. 하지만 이것을 못 해낸다고 해서 내가 무가치한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실패한다고 해도 최선을 다해서 즐겁게 하는 자신이 나는 참 마음에 든다’고 믿게 된다. 이런 마음가짐이라면 행복하고 즐겁게 자신에게 주어진 일들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눈 뜬 장님이 되어 자신이 아무리 많은 것을, 또한 멋진 것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자신을 비판하고 평가절하하면서 끊임없이 스스로를 못살게 굴게 된다. 이런 마음가짐이라면 될 일도 잘 안 될뿐더러 행복감과 즐거움을 누릴 수 없다.

이렇듯 자존감은 인생의 버팀목이고 나를 나답게 살 수 있도록 이끄는 힘이다. 또한 자기비판을 넘어서 있는 그대로의 자기를 수용하도록 만드는 놀라운 마음의 힘이다. 만약 내 아이를 정말 행복하고 즐겁게, 그리고 자신이 가진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면서 살아가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자존감에 주목해야 한다. 보통 자존감은 만 2세부터 7세까지의 부모의 양육 태도를 통해 형성되고 기초적인 뿌리가 만들어진다. 이후 학교 생활 및 또래 관계 속에서 조금씩 교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소중한 가치를 알고 스스로의 능력을 믿고 노력하는 아이야 말로 인생의 행복과 성공을 찾을 수 있는 사람이다.

 

아이의 운명을 바꾸는 결정적인 힘-자존감

즉, 자아존중감이란 자신이 사랑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소중한 존재이며, 어떤 성과를 이뤄낼 만한 유능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마음이다. 또 성과를 이루어내지 못한다 하더라도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마음에 들어 하는 것이다. 사람의 행동을 결정짓는 가장 근원적인 요소로, 자기 가치를 잘 인식하고 자신을 제대로 사랑하는 방법이며, 성공한 삶의 열쇠가 된다.

자존감이 높은 아이는 “나는 참 소중한 사람이야. 나에게는 여러 가지 단점이 있지만, 장점은 더욱 많기 때문에 어떤 어려운 일을 만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도전할거야. 내가 도전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거야. 실패하더라도 열심히 노력한 내가 참 마음에 들어.”라고 말할 수 있다.

거의 모든 아이들이 같은 경쟁사회에서 비슷한 수준의 교육을 받는 다고 가정했을 때, 아이의 능력을 가르는 것은 바로 자존감이다. 그리고 자존감은 아이가 실패를 겪었을 때, 위기에 봉착했을 때 극복하고 다시 일어서게 하고 끈기 있게 도전하게 하는 심지心志가 된다.

아이의 자존감을 위해 부모는 아이가 좋은 면과 나쁜 면, 성공과 실패를 치우침 없이 고루 경험하게 하고 그 차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자기 자신의 신체적 조건이나 심리적 현상을 있는 그래도 받아들이는 것이다.

‘자기수용’이란,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 행동을 자기의 것으로 인정하고 책임지며 자신의 상황을 인정하고 직면하는 태도이다

'MEcosystem > 꿈꾸는 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무튼, 피트니스  (0) 2020.08.27
에세이를 써보고 싶으세요?  (0) 2020.08.21
영화 The Hours  (0) 2020.08.17
자기만의 방  (0) 2020.08.17
구본형, 깊은 인생 DEEP LIFE  (0) 2020.08.17